빌리암 슈테른의 일생
빌리암 슈테른은 그의 부모가 가난하였지만 그는 정통적인 김나지움에 다녔고 공부를 계속해서 1893년에 베를린 대학 철학과에서 헤어만 에빙하우스의 지도로 박사학위를 받은 다음 헤어만 에빙하우스를 따라 1897년에 브레슬라우 대학으로 가서 거기서 정교수 자격을 받았다. 브레슬라우 대학에서 10년 동안은 대학강사로 일하였고 그리고 9년 동안은 비정규교수로 일하였다.
1916년에 함부르크에 있는 식민지 연구소 에른스트 모이만의 후임자가 되었고 1919년에 개교한 함부르크 대학의 창립에 큰 역할을 하고서 함부르크 대학의 정교수가 되었다. 1931년에 함부르크에서 열린 독일 심리학 대회를 계기로 그리고 새로 선출된 학회장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연구소 내에서 공간 활용이나 활발한 연구활동 등을 지도하였으며, 기념 논문집이 그를 빛내주었다.
1933년에 히틀러가 집권하였을 때 유대인이라서 직장에서 퇴출되어 끝내 네덜란드를 거쳐 미국으로 이민을 가서 1938년 5월 28일에 갑자가 사망할 때까지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햄에 있는 듀크 대학에서 객원교수로 일하였다.
빌리암 슈테른의 저서
그가 12년 동안에 저술한 단행본 9권과 전문학술지에 발표한 논설 95편은 당시 여타의 일반적인 심리학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는 새로운 심리학이 태동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기에 충분하였다. 이미 1990년에 쓴 지침서 개인차이 심리학에 대하여에서 새로운 방향 즉 개인, 사람, 종합인격에 대한 이해와 그리고 이것과 긴밀하게 연관시키면서 모든 문화영역에 심리학을 응용하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응용영역에 대한 연구지원 활동으로 1903년부터 1906년까지 전문학술지 기술심리학을 발행하였다.
모든 문화 영역에 대하여 그리고 교육, 학교, 경제영역에 대하여 응용심리학이 담당하여야 할 기본과제들을 학술지 제1권 제1호에 정리하였으며 이것이 1908년에 응용심리학 학술지의 창간으로 이어져서 1933년까지 빌리암 슈테른과 오토 립만이 이 학술지를 함께 발행하였다.
그가 가장 관심을 가졌던 심리학 응용분야는 학교제도 분야로서 그는 학교개혁연합을 이끌었고 그의 함부르크 식민지연구소는 학생 선발, 재능 연구 그리고 재능 있는 학생 후원에 이바지하였던 것으로 유명하였다. 빌리암 슈테른은 두 단행본 유아언어와 첫 유아기의 기억, 언어표현 그리고 거짓말로도 유명하였다. 이 두책은 슈테른의 세 자녀 1900년에 출생한 힐데, 1902년에 출생한 귄터, 1904년에 출생한 에바가 성장 발달하는 것을 적은 육아일기에서 나온 것이다.
아이들의 발달을 추적한 일기 가운데 이 육아일기는 다른 육아일기들과 다른 점이 있어서, 하나는 부모 모두가 공동작업을 긴밀하게 하였다는 점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만 3세가 훨씬 지난 단계까지 관찰하였다는 점이었다. 그의 책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인 초기 유아기부터 만 6세까지의 심리학이 1914년에 나왔는데 그가 죽은 지 거의 30년이 지난 1967년에도 제9판이 발간되었다.
빌리암 슈테른에 대한 평가
빌리암 슈테른이 특별한 분야를 아주 많이 연구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을 그를 다중전문가라고 불렀다. 그러나 주목해야 할 것은 그에게는 이들을 통합하는 학문이 심리학이었다는 점이다. 인간으로부터 나온 모든 학문의 근본 의미는 또한 심리학의 근본 의미는 그에게는 사람이라는 개념이었다. 그에게 피실험자는 사물이 아니라 항상 사람이었고 피시험자들이 실험에서 보이는 반응과 그들의 자발적 행동을 인격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였는데 이는 지능 연구와 재능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최근까지도 미국에서 교과서의 밑주석에 단지 IQ의 발명자라고 인정하고 있을 정도로 낮은 사후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다행히도 최근에 독일에서 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빌리암 슈테른의 사람 개념과 그의 모든 전작이 다시 사람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헤어만 에빙하우스
헤어만 에빙하우스는 1850년 1월 24일에 바르멘에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나서 거기서 공립고등학교를 다녔다. 1867년부터 본 대학, 할레 대학 그리고 베를린 대학을 번갈아 다니다가 1871년부터는 다
ddangkongpp.tistory.com
에른스트 모이만
에른스트 모이만은 신교 목사인 프리드리히 모이만의 아들로 1862년에 라인 강가의 작은 도시 우어딩엔에서 태어났다. 1915년에 함부르크에서 사망하였으며 1911년 이래 일반강좌와 식민지연구소
ddangkongpp.tistory.com
댓글